호랑이 개발일기

[Git] 규칙적인 Commit 메세지로 개발팀 협업 본문

Git & Github

[Git] 규칙적인 Commit 메세지로 개발팀 협업

박개발 2023. 6. 17. 21:23
728x90

이태까지 깃허브(github)는 간단한 프로젝트 코드나 블로그 글을 작성하는 혼자만의 공간이었습니다.
그렇다보니 커밋(commit) 메세지에 대한 내용을 신경쓰질 않았는데,
최근 친구와 함께 일하게 되면서 커밋 메세지 통일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같이 일할 때 커밋 메세지에 신경을 쓰지 않으니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 서로 무슨 작업을 했는지 한 눈에 보이지 않는다.
  • 상대방이 작업한 내용을 위해 코드를 반드시 읽어봐야 한다.

 

사람마다 메세지가 완벽하게 일치할 필요는 없지만,

통일성 있게 작성하여 메세지만으로 무슨 작업을 진행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Importance of Commit Message Rules

커밋 메세지를 작성할 때 규칙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팀원과의 소통
  • 편리한 과거의 기록 추적
  • 이슈(issue) 관리

2. Formats for Commit Messages

커밋 메세지를 작성할 때 필요한 내용들을 하나씩 정리해보겠습니다. 전체적인 포맷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Type

해당 커밋은 무엇에 대한 작업인지 키워드를 통해 표시합니다.

2.2. Subject

커밋 메세지의 제목입니다.

  • 제목은 50자를 넘기지 않고, 마침표를 붙이지 않습니다.
  • 제목에 커밋 타입을 함께 작성합니다.
  • 과거 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명령조로 작성합니다.
  • 제목과 본문은 한 줄 띄워 분리합니다.
  • 제목의 첫 글자는 반드시 대문자로 씁니다.
  • 이슈에 관련된 내용이라면 이슈 번호를 붙힙니다.

Example of Subject

Feat: 신규 RFID 인식 기능 추가

2.3. Body

커밋 메세지의 본문입니다.

  • 선택 사항이므로 모든 커밋에 작성할 필요는 없습니다.
  • 한 줄에 72자를 넘기면 안 됩니다.
  • 어떻게(how)보다 무엇(what), 왜(why)에 집중하여 내용을 작성합니다.
  • 설명뿐만 아니라 커밋의 이유를 작성할 때도 작성합니다.

Example of Body

신규 RFID 기능 인식 기능 추가
  - RFIDReader.java: 사용자 요건 사항으로 인한 RFID 인식 기능 추가

커밋 메세지의 맺음말입니다.

  • 선택 사항이므로 모든 커밋에 작성할 필요는 없습니다.
  • 이슈를 추적하기 위한 ID를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
    • 해결 - 해결한 이슈 ID
    • 관련 - 해당 커밋에 관련된 이슈 ID
    • 참고 - 참고할만한 이슈 ID

Example of Footer

해결: #123
관련: #321
참고: #222

Exmample of Full Commmit Message

Feat: 신규 RFID 인식 기능 추가(#123)

신규 RFID 기능 인식 기능 추가
  - RFIDReader.java: 사용자 요건 사항으로 인한 RFID 인식 기능 추가

해결: #123

이슈가 없다면 크게 쓸 일은 없다.

 

예시

결론

커밋 메세지를 잘 작성하는 것은 협업에서 기본적인 습관입니다.

내가 다른 사람의 작업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다른 사람 역시 내가 작성한 커밋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지해야합니다.

팀에서 함께 위와 같은 컨벤션으로 일할 수 있다면 히스토리를 파악하고 코드 리뷰도 짧은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728x90
Comments